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sliver-linings 님의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sliver-linings 님의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4)
    • 생물다양성 보전 (44)
  • 방명록

전체 글 (44)
다양한 생물들-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과 큰 동물

1.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들: 미세한 생명의 세계자연계에는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동물들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매우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요정오징어(Pygmy Squid)는 몸길이가 1.6cm에 불과한 작은 오징어로, 주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얕은 해역에서 서식합니다. 이 오징어는 몸 색깔을 바꾸는 능력이 뛰어나며, 위협을 받을 경우 먹물을 뿜어 도망치는 행동을 보입니다.포유류 중 가장 작은 동물로는 에트루리아땃쥐(Etruscan Shrew)가 있습니다. 몸길이가 약 3~5cm, 몸무게가 1.8g 정도에 불과한 이 작은 포유류는 빠른 신진대사를 가지고 있어 거의 끊임없이 먹이를 섭취해야 합니다...

생물다양성 보전 2025. 3. 4. 23:48
반려동물에게 위험한 식물, 안전한 식물

1. 반려동물에게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식물많은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실내·실외에 식물을 함께 두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식물은 반려동물에게 치명적인 독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강아지와 고양이는 특정 화학물질을 해독하는 능력이 인간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독성이 있는 식물을 섭취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독성 식물로는 백합(Lily), 개나리(Forsythia), 알로에(Aloe Vera), 스킨답서스(Pothos), 디펜바키아(Dumb Cane), 고무나무(Rubber Plant), 몬스테라(Monstera), 크로톤(Croton) 등이 있습니다. 백합의 경우 고양이가 한 잎만 씹어도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디펜바키아는 구강 점막을 자극하여 심한 통증과..

생물다양성 보전 2025. 3. 2. 09:03
꿀벌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계

1. 꿀벌: 생태계의 핵심 수분 매개자꿀벌(Apis spp.)은 지구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수분 매개자 중 하나로, 다양한 식물의 생식 과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꽃을 찾아다니며 꿀과 꽃가루를 모으는 과정에서 꿀벌은 꽃가루를 다른 꽃으로 옮겨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돕습니다. 이 과정은 수분(pollination)이라고 하며, 많은 식물이 번식하고 생태계가 유지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특히 농업에 있어서 꿀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사과, 딸기, 아몬드, 블루베리, 해바라기 등 다양한 작물은 꿀벌의 수분 활동에 의해 생산량이 크게 좌우됩니다. FAO(유엔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식량 작물 중 75% 이상이 동물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을 꿀벌이 담당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2025. 3. 1. 00:41
무화과와 무화과 말벌의 공생

1. 무화과와 무화과 말벌의 독특한 공생 관계무화과(Ficus spp.)와 무화과 말벌(Fig wasp, Agaonidae과)은 오랜 세월에 걸쳐 공진화(Co-evolution)를 이루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 왔습니다. 무화과는 외부에서 꽃이 보이지 않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있는 꽃이 수정되려면 반드시 특정한 무화과 말벌이 있어야 합니다. 이 말벌들은 무화과 열매(실제로는 은화서(Syconium)라는 꽃의 집합체) 내부에 들어가 알을 낳으며, 동시에 꽃가루를 전달해 무화과가 번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이 공생 관계는 종마다 특이성을 가지며, 한 종의 무화과에는 특정한 종의 무화과 말벌만이 수분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즉, 특정 무화과가 존재하려면 그에 맞는 무화과 말벌도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7. 09:05
다양한 식물들-한국의 사계절에 피는 꽃

1. 봄의 전령사, 벚꽃과 진달래한국의 봄에는 벚꽃과 진달래가 대표적으로 핍니다. 3월 말에서 4월 초가 되면 전국 곳곳에서 벚꽃이 만개하며, 분홍빛과 흰색이 어우러진 장관을 연출합니다. 한국의 왕벚나무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독특한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벚꽃의 개화 시기가 짧아 바람에 꽃잎이 흩날리는 모습은 한국의 봄을 더욱 낭만적으로 만듭니다.또한, 진달래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랑받아 온 봄꽃입니다. 진달래는 개나리보다 약간 늦게 피어나며, 연한 분홍빛 꽃잎이 특징입니다. 특히 진달래는 식용이 가능하여 화전(花煎)이라는 전통적인 꽃 요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진달래가 만개하는 대표적인 명소로는 북한산, 소백산, 합천 황매산 등이 있으며, 봄철 산행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 줍니다..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6. 08:50
다양한 식물들-움직이거나 반응하는 식물

1. 음악에 반응하는 신비로운 식물, 댄싱 플랜트 (Desmodium gyrans)일반적으로 식물은 성장 속도가 느려 움직임을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댄싱 플랜트(Desmodium gyrans)는 예외적으로 음악, 소리, 온도 변화 등에 빠르게 반응하는 특이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텔레그래프 플랜트(Telegraph Plant)’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은 작은 잎이 리듬에 맞춰 춤을 추듯 움직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댄싱 플랜트의 움직임은 팽압(세포 내 수압) 조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 잎자루 근처의 세포가 팽압을 변화시켜 잎을 빠르게 흔드는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태양광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적응이라고 추정합니다. 실제로 이 식물은 햇빛이..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5. 08:03
다양한 식물들-기이한 생존 전략을 가진 식물

1.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는 생존의 귀재, 웰위치아 (Welwitschia mirabilis)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가혹한 환경 속에서 웰위치아(Welwitschia mirabilis)는 독특한 생존 전략을 통해 수백 년에서 길게는 2,000년까지 생존하는 놀라운 식물이다. 이 식물은 단 두 장의 잎만을 평생 유지하며 살아간다. 일반적인 식물이 새로운 잎을 계속 만들어 내는 것과 달리, 웰위치아의 잎은 한 번 자라기 시작하면 점점 길어지고, 끝이 마르거나 찢어져도 계속 생장하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이러한 독특한 잎 구조 덕분에 사막에서도 최소한의 수분 손실로 생존할 수 있다.웰위치아의 생존 전략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안개를 이용한 수분 공급이다. 나미브 사막은 연평균 강수량이 25mm에 불과하지만, 해..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3. 15:57
다양한 식물들-실내 공기 정화식물

1. 실내 공기 오염의 위험성: 보이지 않는 위협실내 공기 오염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하루 평균 80~90%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질은 우리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실내 공기 오염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습니다.실내 공기 오염 물질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가구 및 바닥재에서 나오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 그리고 곰팡이와 먼지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장기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반응..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2. 09:48
국가가 관리하는 생물-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

1. 국가보호종이란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보존 및 보호하기 위하여 환경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이 관련 법률에 따라 지정·보호하는 생물들을 의미합니다. 모두 보호가 필요한 동식물을 포함하지만, 보호 목적과 법적 지정 기준이 다릅니다.   ☞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2. 멸종위기종: 생태계 보전을 위한 필수 보호 대상 멸종위기종은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 위험에 처한 동식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종이 멸종하면 연쇄적으로 다른 생물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 구분하여 보호..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1. 11:05
외래종 유입과 생태계 교란

1. 외래종 유입과 생태계 교란: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작외래종(Alien Species)이란 인간의 활동이나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본래의 서식지가 아닌 지역으로 유입된 생물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종이 유입되면 생물다양성이 증가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외래종 중 일부는 새로운 환경에서 급격히 번식하여 침입외래종(Invasive Species)이 되며, 기존 생태계를 교란하고 생물다양성 감소를 유발합니다.황소개구리(American Bullfrog): 1970년대 한국에 식용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토착 개구리들과 경쟁하며 개체 수를 급격히 증가시켰습니다. 황소개구리는 먹이 경쟁뿐만 아니라 토착 양서류를 포식하기도 하여 한국의 원래 개구리 종들의 개체 수 감소를 초래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외래종이 생..

생물다양성 보전 2025. 2. 20. 10:35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